Money Watch(161)
-
LG하우시스 : 기가 막힌 시점에 업종 전환
LG하우시스 : 기가 막힌 시점에 업종 전환부동산 리모델링과 유지보수가 커지는 시점에 소재사업으로 환골탈퇴한 기업.과거 금호석유의 적절한 설비증설로 랠리하던 분위기가 나타 나고 있음. LG하우시스, 자동차원단 등 소재부문이 실적 견인 KCC, 실리콘 등 화학소재 해외 매출 비중 ↑ 한화L&C, 車·전자소재 매출 75%까지 증대 건축자재 기업들이 소재산업 육성에 나섰다. 건설경기 불황으로 사실상 건자재 부문의 성장이 불투명해지면서 소재산업을 탈출구로 택한 것이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하우시스, KCC, 한화L&C 등 건자재 기업들이 자동차부품, 무기화학소재, 전자소재사업 등 소재산업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소재산업에 집중하는 배경은 실적과 무관치 않다. LG하우시스는 지난 1·4분기..
2013.05.16 -
한국가구 : 자회사와 자산 분석을 안하면 가치를 알 수 없는 기업
◆가구보다 식품업 기여도 높은 한국가구 코스닥시장의 '한국가구'는 이름 그대로 가구회사다. 가정용 가구를 비롯해 사무용 가구, 호텔 고급가구 등 주문형 가구를 국내에서 제조하고 수입해 판매한다. 매출액의 거의 100%가 가구에서 발생한다. 품목별 매출액 비중은 소파류 33.0%, 식당용 가구 14.8%, 거실가구 12.2%, 침실가구 11.0% 등이다. 하지만 한국가구에서 지분을 100% 보유한 종속회사 제원인터내쇼날은 가구와는 전혀 무관한 식품도소매사업을 하는데, 모기업보다 훨씬 더 많은 매출액이 발생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모기업보다 훨씬 더 많다. 회사 전체적으로는 가구사업을 능가하는 영업성과를 올리는 식품관련 사업이 회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가구는 자사가 보유 중이던 서울 ..
2013.05.16 -
GS홈쇼핑 : 지속 성장 저평가 종목
2012년도 매출이 11% 정도 증가해서 1조 247억 원. 영업이익은 28% 정도 증가해서 1,325억 원을 기록했다. 가전제품, 가전용품 및 의류를 중심으로 상품 매출과 수수료 매출 등의 총 매출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고객 참여형 테마 쇼핑몰, 해외 구매대행 사이트, 패션 전문몰 등 위성 사이트와 시너지효과가 나타나면서 매출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이다. 1/4분기 실적도 대체로 양호한 수준으로 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나왔는데 전년 동기 대비해서 총 매출액은 3% 정도 증가에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무려 32.9% 증가하는 놀라운 개선세를 보였다. 저마진의 가전제품의 판매 비중이 줄고 고마진의 의류나 렌탈 매출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된다. 또 특기할 만한 사항은 전체 비중에서는 크지 않지만..
2013.05.16 -
2분기 유망주 : 한국경제
기사 원문 : http://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mode=mainnews&office_id=015&article_id=0002881922 롯데쇼핑·현대百 등 유통주, 현대모비스 등 車·타이어주도 2분기 실적 호전 전망 “2분기 실적발표 시즌에는 어떤 상장사가 ‘스타’로 떠오를까.” 상장사들의 1분기 실적 시즌이 끝나가면서 증시의 관심은 상장사의 2분기 실적으로 옮겨가는 중이다. 벌써부터 ‘2분기 실적이 기대된다’는 제목을 단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기업 분석 보고서가 쏟아지고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1분기와 작년 2분기 대비 모두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들은 실적개선의 연속성을 갖춘 것”이라며 “국내 증시의 뚜렷한 모멘텀(상승 요인)..
2013.05.16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는 5가지 방법
[머니투데이] [[줄리아 투자노트]] 똑같은 돈을 갖고도 행복한 사람이 있고 불행한 사람이 있다. 똑 같은 돈을 쓰고도 행복한 사람이 있고 불행한 사람이 있다. 행복은 돈이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문제라고들 한다. 행복을 느끼는 마음은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돈 쓰는 방법을 조금만 바꿔도 이전보다는 조금 더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엘리자베스 던, 하버드 대학의 대니얼 길버트, 버지니아 대학의 티모시 윌슨 교수가 행복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소비 방법을 연구해 '소비자 심리 학술지(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최근호에 실었다. 똑같은 돈으로 더 많은 행복을 살 수 있는 방법 5가지를 소개한다. ◆1. 명품 백을 사지 말고 여행..
2013.05.16 -
장세순환이론 : 금융장세 → 실적장세 → 역금융장세 → 역실적장세
주식시장은 끊임없이 순환한다. 주식시장은 강세와 약세를 반복한다. 금융장세 → 실적장세 → 역금융장세 → 역실적장세 1. 경기침체에서 벗어나면 나타나는 금융장세 기업의 실적은 여전히 부진하고 경기는 위축되어 있지만, 주식시장에는 가격이 내려간 주식을 사려는 유동성이 넘친다. 즉, 수요 공급에서 수요가 우위에 서는 것이다. 이때 주식시장은 돈의 힘으로 상상을 시작한다. 금융장세에서의 주식시장 상승은 실적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접근성이나 유동성이 좋은 건설업, 금융업, 무역업 같은 종목으로 매수세가 집중되어 발생한다. 특히 이들 종목은 침체기에 과도하게 저평가되거나 주가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 메리트가 증가해 있기도 하다.또한 경기침체 와중에도 나름대로 견고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 안정성이 ..
201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