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Health(17)
-
마인드맵 분석 기법으로 풀어 본 건강에 필요한 요소들
문제가 발생하거나 해결해야 할 것이 여러개 이거나 복잡하다면 어떻게 하십니까! 고민이 있다면 생각만 하는 편인가요, 껴안고 있는 성격인가요? 마인드 맵은 뇌속에서 정리되지 않은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방법론이자 도구 입니다. 마인드맵은 1971년 쯤 토니부잔(Tony Buzan)에 의하여 개발된 후 영국에서 선풍적으로 이기를 끌었습니다. 그는 메모하는 습관이 시야를 좁게하고 사고를 막아 성공에 방해요소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서 메모하는 대신에 머리속의 이미지들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마인드맵 이론을 만들었습니다. 머리속의 생각들을 꺼내 생각의 나무를 만드는 것이 마인드맵의 핵심입니다. ▲ 지인의 페이스북에서 입양해온 건강에 관한 마인드앱입니다. 가지를 하나씩 따라가 보면 웃음와 함께 납득이 갑니다. ..
2011.11.12 -
임신했을 때 술을 마시면?
친구랑 술을 마시다 옆자리에 황당한 여자를 봐서 내가 이런걸 다 찾아본다. 그여자는 담배도 피던데~ 자료를 찾아보니 한두 차례 가벼운 술은 태아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데 하루 반 잔 이상의 술은 태아발달에 부정적이고 조산의 위험이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그리고 술을 마시지 않은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보다 행동과 정서에 문제가 많다고도 한다. 특히 임신 3개월 전에는 완전 금주해야하고 조금 마셔도 되는 기간은 3개월 후부터다. 구글 리더에 추가하면 새 소식 계속 받아 볼 수 있어요.
2011.11.09 -
흑맥주와 요산
샤워 후 운동 후 TV볼 때 저녁에 잠이 안올 때 모두 맥주 한잔이 간절하게 생각나는 때. 여지없이 오늘 저녁도 시원하고 칼칼한 흑맥주 한잔이 생각나 바로 준비한 메뉴가 흑맥주 기네스(Guinness). 그래 딱 한캔만 마시고 자는거야! 옆에 메츄리아는 기네스에 따라온 서비스입니다. 팔팔한 30대 중반까지만 해도 색이 투명하고 톡 쏘는 맥주를 좋아했는데 이제는 시원함 보다 시려오는 느낌이 더 강해져 바꾼 것이 흑맥주다. 맥주는 시원함이 스포츠 음료 이상으로 좋지만 너무 자주마시면 요산이 쌓입니다. 요산은 통풍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나중에는 술도 못마시고 풀과 이슬만 먹고 살아야 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그런데 흑맥주는 요산을 만들지 안습니다. 유럽에서 음료수처럼 매일 마시는 맥주가 흑맥주라고 하네요. 아..
2011.11.04 -
들의 잡초 쇠비름 : 오메가3 함량이 높고, 당뇨, 암, 염증, 저혈압, 자가면역장애에 효과
본인이 종합병원인지라 한의사 한테서 소개도 받고 개인적으로 알아보기도 해서 발견(?)한 약초입니다. 본가에 작은 과수원과 밭이 있는데 쇠비름이라는 것은 농사하는 분들에게는 잡초제거의 대상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쇠비름을 마치현 또는 장명채라 칭하고 약재로 사용하고있는데 쇠비름의 특성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동의보감 : 쇠비름은 성질이 차고 맛이 시며 독이 없다. 여러가지 헌데와 약창을 낫게하고 ...... 갈증을 멎게 하겨 여러가지 벌레를 죽인다. 본초강목 : 잎이 작은 것과 큰것이 있는데 잎이 작은 것만을 슨다. ....... 달걀 흰자는 쇠비름의 작용을 높인다. 동의학사전 :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 어혈을 없애고 살충하며 소변이 잘나오게 한다. 항약집성방 : 눈 어두운데,..
2011.10.23 -
민첩성과 에너지증강, 단백질
음식이 소화되는 동안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데 이 가운데 티로신이란 아미노산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의 생산을 증가시킨다고~~ 하네요. 이러한 신경전달 물질들이 바로 민첩성과 에너지를 증강 시키는 능력이 있다고 하는데, 이런 고단백 음식은 콩류, 생선, 조류, 고기, 두부 등입니다.
2008.03.13 -
검정콩의 효과 : 탈모예방, 항암, 비만억제, 노화억제
몸에 좋은 음식을 거론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콩’. 그중에서도 검정콩은 일반 콩보다 노화방지 성분을 4배가량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성인병예방은 물론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다양한 먹을거리에 활용되고 있다. 차(茶)를 비롯해 두유, 선식, 과자 등 검정콩이 함유되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 식품들에는 ‘웰빙’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검정콩은 예로부터 시력 증진, 해독 작용 및 소갈(消渴, 갈증으로 물이나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데도 몸이 마르고 소변 양은 많아지는 병) 치료로 사용돼 ‘약콩’이라 불리며 한국의 전통 식문화로 자리 잡았다. 검정콩에는 양질의 단백질뿐 아니라 지질,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E 등의 영양소가 들어있다. 모발이 성장하기 위한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도 함유하고..
2008.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