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152)
-
상장 제약사 영업이익율 추이
출처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164033기사의 표에 오기가 있네요. 앞쪽이 2013년 1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한 성과를 판단하는 잣대로 활용된다. 제조 및 판매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영업외 손익을 제외한 순수한 영업이익만을 매출액과 대비한 것이다. 영업이익률 7.5%는 제약기업들이 1,000원어치 제품을 팔아 75원을 벌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1분기의 경우 4월 실시될 일괄약가인하제도 시행에 대비해 소극적인 영업을 하면서 매출 및 수익성이 악화됐었다. 하지만 올 1분기는 일괄약가인하 제도에 어느정도 적응하면서 본격적인 영업활동에 나서고, 업체들이 판매 및 관리비 지출에 성공하면..
2013.06.02 -
C&S자산관리
건물 종합관리, 시설경비, 시설물 유지관리, 광고대행, 부동한 임대를 하는 기업입니다. 요즘 업황에 잘 맞는 기업이고 실적도 꾸준하고 저평가입니다. 챠트를 보면 등락이 심한 것 처럼 보이지만 추세와 패턴으로 보면 오히려 깨끗한 파동입니다. 한국토지신탁과 함께 꾸준하게 보면 좋을 종목. 향후 기대하는 예상 추세.
2013.05.23 -
미국, 일본, 한국의 하락.
카페에 급격하게 불량회원들이 늘어나 어쩔수 없이 이곳에 글을 쓰고 4등급 회원들에게만 쪽지로 링크를 보내드렸습니다. 금일 시황에 관한 내용입니다. 금일 일본이 급락을 하였음. 이슈는 간밤 버냉키의 양적완화 종료와 관련된 발언인데 "필요할때 하겠다.", "아직은 때가 아닌것 같다." 등 별다른 이야기는 없었음. 그러나 각국 지수들은 급락하면서 "조만간 유동성이 회수되는 것 아니냐?"라는 이야기가 많이 돌고 있음. 그러나 이런 이야기들은 크게 신경쓸 것들이 아님. 진짜 이유는.. 미국시장, 일본 오늘 한국하락 이유는 이 챠트 하나가 다 설명해줍니다. 장기 추세는 로그챠트로 봐야 정확합니다. 몇주전에 일본 저항선 올려드린 적 있는데 오늘 저항 상단을 정확히 터치하고 급락. 장중에 서킷 걸리고 난리도 아니었네요..
2013.05.23 -
워런버핏이 말하는 '성공이란'
머니투데이 제공 = 미국 내브래스카 대학에 다니는 여대생이 지난 3일 경제전문지 포춘이 주최한 '여성과 일'이라는 주제의 강연회에서 세계적인 주식 투자자 워런 버핏에게 물었다. "지금 위치에서 과거에 배운 교훈들을 돌아볼 때 성공을 어떻게 정의하겠습니까?" 버핏은 주저하지 않고 대답했다. "어떤 사람들은 성공이란 원하는 것을 많이 얻는 것, 행복이란 많이 얻기를 바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하나는 다른 하나를 반드시 포함한다고 느끼죠.(성공해야 행복하다고 느낀다는 의미.) 하지만 내 나이(82세)가 되면 말입니다, 당신이 사랑해줬으면 하는 사람이 당신을 사랑해주면, 그게 성공입니다. 당신은 세상의 모든 부를 다 얻을 수도 있고 당신 이름을 딴 빌딩들을 가질 수도 있겠죠. 그러나 사람들이 당..
2013.05.16 -
LG하우시스 : 기가 막힌 시점에 업종 전환
LG하우시스 : 기가 막힌 시점에 업종 전환부동산 리모델링과 유지보수가 커지는 시점에 소재사업으로 환골탈퇴한 기업.과거 금호석유의 적절한 설비증설로 랠리하던 분위기가 나타 나고 있음. LG하우시스, 자동차원단 등 소재부문이 실적 견인 KCC, 실리콘 등 화학소재 해외 매출 비중 ↑ 한화L&C, 車·전자소재 매출 75%까지 증대 건축자재 기업들이 소재산업 육성에 나섰다. 건설경기 불황으로 사실상 건자재 부문의 성장이 불투명해지면서 소재산업을 탈출구로 택한 것이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하우시스, KCC, 한화L&C 등 건자재 기업들이 자동차부품, 무기화학소재, 전자소재사업 등 소재산업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소재산업에 집중하는 배경은 실적과 무관치 않다. LG하우시스는 지난 1·4분기..
2013.05.16 -
한국가구 : 자회사와 자산 분석을 안하면 가치를 알 수 없는 기업
◆가구보다 식품업 기여도 높은 한국가구 코스닥시장의 '한국가구'는 이름 그대로 가구회사다. 가정용 가구를 비롯해 사무용 가구, 호텔 고급가구 등 주문형 가구를 국내에서 제조하고 수입해 판매한다. 매출액의 거의 100%가 가구에서 발생한다. 품목별 매출액 비중은 소파류 33.0%, 식당용 가구 14.8%, 거실가구 12.2%, 침실가구 11.0% 등이다. 하지만 한국가구에서 지분을 100% 보유한 종속회사 제원인터내쇼날은 가구와는 전혀 무관한 식품도소매사업을 하는데, 모기업보다 훨씬 더 많은 매출액이 발생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모기업보다 훨씬 더 많다. 회사 전체적으로는 가구사업을 능가하는 영업성과를 올리는 식품관련 사업이 회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가구는 자사가 보유 중이던 서울 ..
201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