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넌트 현의 종류

2019. 11. 6. 21:53Hobby/Violin

반응형

바이올린 교환 보내고 지난 1주일동안 연습했던 것을 돌아보았다. 줄의 장력과 소리. 아직 제대로 소리도 못내는 처지지만 줄의 장력과 어쩌다 나는 소리의 느낌은 생생하다.

바이올린과 함께 주문한 현은 알파유였다. 알파유 다음에는 도미넌트도 사용해볼 생각으로 검색하는데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

알리익스프레스 상품 선택하는 곳 색상은 종류를 의미한다. 알리에서 판매하는 도미넌트 현은 135B, 135 두 종류다. 그럼 이제 두 종류의 차이를 알아보자. 카달로그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E String (1번선)

  • 129 크롬스틸, 볼마감, 130보다 고장력, 129MS : 동그란 마감
  • 130 알루미늄 코팅 강철코어, 볼마감, 130MS : 동그란 마감

A String (2번선)

  • 131 알루미늄 와이어드 합성코어

D String (3번선)

  • 132 알루미늄 와이어드 합성코어
  • 132A 은 와이어드 합성코어, 132보다 고장력

G String (4번선)

  • 133 은 와이어드 합성코어

선의 종류는 위와 같이 있다. 이 선을 조합한 것이 셋트의 모델번호다.


  • 135   Set : 130, 131, 132, 133
  • 135A Set : 130, 131, 132A, 133 (3번줄 고장력)
  • 135B Set : 129, 131, 132, 133 (1번줄 고장력)
  • 135AB Set : 129, 131, 132A, 133 (1, 3번줄 고장력)

오~~ 정리하고 보니 한방에 이해간다.

그리고 각 선마다 라이트, 미디움, 헤비 장력이 있는데 주로 유통되는 것은 미디움이라 한다.

고로 난 초보니까 저장력으로 구성된 135를 구매하기로 결정.

아래 내용은 그냥 교양차원에서 알게된 정보 써본다.

도미넌트 현은 어떤 회사에서 만드나?

회사명은 토마스틱-인펠트이고, 1919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토마스틱이란 바이올린 제작자와 인펠트라는 토목공학자가 공동 설립했다합니다. 우리나라 망한 해에 음악 역사의 기록을 세운 회사가 창립되었다.

토마스틱-인펜스 회사의 공헌? 업적?

과거에는 양의 창자를 말려 현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회사에서 최초로 강철로 만든 현을 출시했고, 합성물질로 만들어진 도미넌트현을 발명(?)했다. 현재 도미넌트 현은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고한다. 아래 그림 참고

바이올린 현 사운드챠트

토마스틱-인펜스 회사에서 만드는 다른 제품은?

도미넌트, 인페인펠트, 인펠트, ... ... ... 비젼, 비젼 솔로, 비전 타이타늄 ... ... . 많아서 생략한다.

이 회사 온라인 카탈로그 봄직하다. 잘빠졌다. 모델 말고 카달로그가.

카달로그 도미넌트 부분 화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