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가상화 환경에 아두이노 설치, 포트 설정하기
2018. 6. 6. 04:25ㆍHobby/아두이노
반응형
우분투를 Oracle VM VirtualBox에 설치하고 아두이노를 구동해 보았습니다. 약간 윈도우에 비해 약간 귀찮은 설정이 있습니다.
1. 아두이노 설치
우분투 소프트웨어(왼쪽 분홍 가방)에서 arduino를 검색합니다. 그리고 설치 꾸욱.설치는 끝났구요. 다음은 약간의 설정이 필요해요.
2. 아두이노 기판 열결용 usb 포트 설정
윈도우는 아두이노 기판을 usb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포트를 인식하지만 우분투는 해당 포트에 대한 권한을 먼저 설정해줘야 합니다.
확실한 설정을 위해 아두이노 기판을 usb에 연결 먼저 해주세요.
▼ 터미널을 열고 아래 화면 처럼 입력합니다. 사용자이름은 본인의 우분투 계정이름입니다.
▼ 이제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 해봅시다.
ls -l /dev/ttyU* 라고 입력하면 연결된 usb포트가 보입니다. UBS0가 아니고 ACM0일 때도 있습니다. 둘다 상관 없습니다.
3. 연결 확인
아두이노를 실행하고 Tools -> Port에서 선택하면 끝납니다.
주의!
위 단계를 오타 없이 했는 데도 아두이노에서 포트가 안보인다면
아래 사항을 확인해주세요.
VirtualBox에서 확인 할 것
가상화 프로그램들은 외주 포트, 미디어 드라이브를 바로 장착하지 않습니다. 제 컴퓨터의 usb는 QinHeng Electtronics USV2.0-Serial [0263]이라 되어있는데 각자 자신의 usb 포트를 골라 체크하면됩니다.
가상화 프로그램이 달라도 유사한 기능은 있으니 어렵지 않게 설정되리라 봅니다.
반응형
'Hobby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T App Inventor program : 아두이노로 만든 RC 카 블루투스 컨트롤 앱 (0) | 2018.06.17 |
---|---|
아두이노 아날로그 센서 사용팁 (0) | 2018.06.14 |
아두이노 나노 Serial port busy 업로드 에러 해결 방법 (0) | 2018.06.09 |
스테퍼 모터 발열을 줄이는 방법 (0) | 2018.06.05 |
[아두이노] 스테퍼 모터 2개 이상 멀티 컨트롤 하는 방법 (0) | 2018.06.04 |
Servo motor bracket assemble and arduino source code (0) | 2018.05.30 |
아두이노 RC카 시제품 도면 완성 기념 스샷 (0) | 2018.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