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Magician SSD 최적화 유틸 사용 후 성능향상 벤치마크

2017. 3. 21. 20:41TIPs/Computer

반응형

삼성 850 EVO 250 SSD 새로 장착한 후에 전에 쓰던 구형 840 시리즈 SSD 용도를 딱히 정하지 못하고 여분의 SATA2에 연결만 해놓은 상태네요. 이 구형 SSD를 삼성 매지션 SSD 유틸리터 실험하는 마루타로 사용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삼성 SSD를 구매하면 SSD 최적화 및 관리 유틸리티인 Samsung Magician,  SSD의 데이터를 복제 해서 윈도우 재설치 없이 사용가능하게 해주는 Data Migration 유틸리티 SW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성 SSD V-NAND 850 EVO 250GB 개봉기와 벤치마크 게시글에 내용물 설명이 있습니다. 만약에 SW가 포함되지 않은 제품을 구매 했으면 당황하거나 열받지 마시고 직접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SSD 포장 박스에 동봉된 CD의 내용물입니다. 마이그레이션, 매지션, 보증관련 폴더가 있습니다. 그냥 주루룩 설치. 별다른 설정 없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에 2개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Samsung Magician : SSD 성능 벤치마크, SSD 성능 향상 옵션 조정, 데이터 삭제 기능이 있는 유틸

Data Migration : 기존 SSD의 내용을 신규 SSD에 복제하는 유틸, OS 재설치 필요 없어서 아주 편합니다. 사용법도 완전 간단, 원본과 복제대상 SSD 선택해주면 끝입니다. 단, 복제될 SSD 용량은 원본과 동일하거나 커야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죠.

이제 삼성 매지션 유틸에 관해서 집중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Disk Drive

삼성 매지션의 첫번째 기능 Disk Drive는 SSD의 용량, 산태를 보여줍니다. 여러개 SSD가 장착되어 있다면 상단 드롭다운 메뉴에서 SSD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Disk Drive의 3번 성능테스트 메뉴는 아래 Disk Management에 있는 기능을 연결해주기만 합니다. 아래 따로 설명합니다.

■ Disk Management -> Performance Benchmark

Disk Management 카테로기에는 3가지 하부 메뉴가 있습니다. Performance Benchmark는 SSD 속도 체크를 하고 저장해놓습니다.

850은 Sata3에, 840은 Sata2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속도차이가 어마어마 하네요.

참고로 Sata3에 840 연결했을 때의 벤치마크는 아래 그림과 같이

읽기에서만 100정도 차이가 납니다. 의미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그런 수치입니다.

주기적으로 벤치마크한 자료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840을 몇년 쓰면서 크게 신경 안쓰고 잘 썼네요. 그냥 심심할때 점수놀이용 기능(?)

■ Disk Management -> Performance Optimiz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은 사실 Trim 기능을 수행합니다. 안헤깔리게 그냥 메뉴이름을  Trim 이라고 했으면 좋았을 것인데요.

Trim이란 기능은....

SSD는 삭제시 실제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표시만 해줍니다. 다른 데이터를 쓰기할 때 지우고 저장가능한 용량을 한곳으로 몰아서 다시 구조를 생성하고 그곳에 쓰기 작업을 합니다. 이런 복잡한 과정을 지우는 과정에 미리 해둔다고 보면 됩니다. 아침에 똥을 쌀지 저녁에 똥을 쌀지 그런 선택(?)

그렇다면 Trim 수행 후 결과는?

Sata3에 장착된 850 EVO 결과는 변화가 미미하고 랜던 읽기, 쓰기에서만 약간 향상 되었습니다.

Sata2에 장착된 결과는 연속, 랜덤 읽기에서는 차이 미미, 연속, 랜덤 쓰기에서는 약간 향상되었습니다.

Trim 기능의 효과? 약간 향상되었지만 그닥. 사용자가 민감해질 필요 없어 보입니다.

■ Disk Management -> Firmware Update

정직한 제목, 정직한 기능. 말 그대로 업데이트 입니다.

■ System Management -> OS Optimization

윈도우를 최적화 해서 SSD 성능을 향상 시켜주는 기능들을 모아놓은 메뉴입니다. 윈도우 성능 향상을 위해서 해야할 것을 크게 2가지로 분류하면 기능을 켜기(활성화)하는 방법, 기능을 끄기(비활성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겸험으로 봐서는 끄기(비활성화)는 효과가 있지만 켜기(활성화)로 성능 향상 시도하는 방법은 오히려 역효과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 속도 향상을 위한 Indexing 데이터 저장을 위한 Buffer 기능은 오히려 체감 속도를 확 떨어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고용량 Ram이 추세인 요즘 가상메모리 기능 끄기는 디스크 용량 절약에 큰 도움 됩니다.

■ System Management -> Over Provisioning

디스크 용량을 희생해서 SSD 수명을 늘리는 기능입니다. SSD의 수명은 사용자들이 생각 하는 것 보다 엄~~ 청 깁니다. 과연 필요한 기능인지는 글쎄입니다.

수명 체크 유틸을 이용해 상당히 오래 사용한 저의 840 SSD의 수명 체크 결과를 보면 아직도 8년이나 남았다네요. SSD 수명 체크 유틸 이용해서 한번씩 해봄직합니다. 재미삼아!

■ Secure Erase

Trim 기능에서 설명했지만 SSD는 데이터를 삭제할 때 실제 지워지는 것이 아니고 지워진 표시만 남긴다고했습니다. 이 기능은 제조사별로 정해진 삭제 비트로 디스크를 완전하게 채웁니다. 만약 삼성 SSD는 0이 삭제 비트라면 전체를 0으로 채웁니다. 쉽게 말해서 SSD를 공장초기화 시키는 것 입니다.

이제 저의 구형 SSD가 마루타 역할 제대로 할 시점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해 840을 완전 삭제 해보겠습니다.

그러나................

Frozen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것을 해결하려면 위 메세지처럼 ssd 전원을 뺏다 다시 꼽아 초기화를 해줘야 하는데 이 과정에 데이터 케이블이라도 건들면 SSD가 영구 락이 걸려 진짜 공장으로 보내야 하는 상황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초기화 시켜서 얻을 수 있는 향상이 어떨지는 제조사 벤치마크를 보면 됩니다. 삼성 SSD 경우는 발표 데이터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저는 본체 뚜껑 열기 귀찮아서도 못하겠습니다.

Secure Erase 대신에 윈도우에서 빠른 포멧을 해봤습니다. 워~~~~ 랜덤 쓰기속도가 미쳤습니다. 부지런한 분들은 공장 초기화도 해봄직 하겠군요. 주) 3개의 점 중에 첫번째가 가장 최신 벤치마크 데이터 입니다.

■ Advanced Frature -> RAPID Mode

여러개 SSD가 설치되어 있어도 하나의 SSD만 가속 시켜줍니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없고 이 기능을 활성화 비활성화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최소 요구사항에 보이듯이 램2기가, 50메가 여유공간이 필요합니다.

RAPID 모드를 활성화하고 재부팅합니다. 재부팅후 다시 벤치마크 실행한 결과는

왜 했니? SSD 본연의 목적이 빠른 읽기라는 쓰임새를 보면 최적화가 큰 이득은 없네요. 오히려 순정상태보다 랜덤 읽기 속도가 떨어졌습니다. 약간이긴하지만.. 이정도 변화된 수치를 사용자들이 느낄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저는 구형 840하고 신형 850하고 체감 차이도 모르겠습니다만...

■ Data Security

데이터 보안 기능인데 집에서 사용하는 사용자가 쓸 일은 없어보입니다. 윈도우에 암호걸거나 바이오스에 암호를 걸거나를 넘어서는 데이터 암호화가 필요한 정도라면 아마 회사나 조직에서 다른 솔루션을 제공하겠죠. 그걸 사용하면 됩니다.

■ 총평

읽기 속도 좀 떨어지더라도 쓰기 속도가 중요하면 Trim과 Rapid 모드 사용하면 조금 속도향상 최적화 효과가 있다.

게임처럼 읽기 위주에 치중한 사용이라면 오히려 순정 상태가 더 좋다.

첨가) 혹시 다른 유틸을 사용하면 더 좋아지려나 할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기본적인 작동은  메인보드와 OS, 컨트롤러에서 수행됩니다. 유틸을 바꾼다해도 같은 기능을 사용했다면 적용 결과는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