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와 주가의 다이버전스를 이용한 매수 / 매도

2013. 6. 2. 07:51Money Watch/주식 공부

반응형

MACD 지표

  • 장단기 이동평균을 활용하며 주가의 추세를 나타내주는 기술적 지표 
  • MAO지표와는 다르게 지수 이동평균법을 사용하며 신호선(signal)을 항상 동반 
  •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의 상호관계 중 중요한 특성인 "확장과 수렴(Convergence & Divergence)을 반복하는 특성"을 이용 
  • 단순 이동 평균선의 큰 문제점인 "후행성"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주가에 더 큰 가중치를 두는 "지수 이동 평균법"을 이용하여 후행성을 극복한 지표


공식

MACD = 단기 지수 이동평균 - 장기 지수 이동평균
MACD 신호선(Signal) = N일의 MACD 지수 이동평균
MACD Oscillator(Histogram) = MACD - MACD신호선(Signal)
권장 변수값(N)
a. 단기(N) 이동평균선 ; N= 12일
b. 장기(N) 이동평균선 ; N= 26일
c. 신호선(Signal)의 N값 ; N= 9일


MACD 지표와 주가의 다이버전스 사례


아트라스BX를 보년 최근 3번 다이버전스가 나타났습니다.


첫번째 구간 : MACD 저점에서 상승 후 0 돌파, 주가 하락. 주가가 상승 전환 할 수 있는 신호

두번째 구간 : MACD 고점에서 하락 후 0 이탈, 주가 상승, 주가가 하락 전환 할 수 있는 신호

세번째 구간 : MACD 고점에서 하락, 주가 상승. 앞으로는 ?

사례로 보았을 때

MACD가 0선을 이탈하면 차익 실현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0선을 지지하고 다시 상승하면 보유 가능


아래 3개 챠트는 각 구간을 확대한 것 입니다.



반응형